본문 바로가기
책책책 이야기/지식비타민

민간발전, 민간발전, 대박에서 쪽박이라는데, '쪽박 사업' 전락한 민간발전

by 기프트데이 판촉물 2015. 3. 6.

 

 

​사진 : 한국경제신문

 민간발전, 대박에서 쪽박이라는데

2015-03-06

CEO  세상의 흐름을 읽어내는 눈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? 한때는 민간발전이 대박으로 부상해서 많은 기업들이 투자했는데 지금은 쪽박차기 생겼다는데 경영에 많은 시사점을 주네요. 한국경제신문 2015.3.4 보도를 보면

==============

경기도 포천시에 액화천연가스(LNG) 발전소 건설을 추진 중인 A사는 최근 자본시장에서 자금 조달에 나섰다가 애를 먹고 있다. 발전설비 과잉 등으로 민간 발전소의 미래 수익성이 불투명하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투자자들이 외면하고 있어서다. SK E&S가 지난해 오성천연가스발전소 등 3개 발전소를 하나대투증권 프로젝트 펀드에 11300억원에 매각한 것과는 대조적인 분위기다. 가동률이 떨어질수록 민간 발전사업자의 자금줄이 조여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. 투자은행(IB)업계 관계자는그동안 발전소 사업 투자는 연 7% 이상의 수익을 안정적으로 낼 것이라는 인식이 컸으나 최근 가동률이 떨어지면서 투자 분위기가 급랭했다고 말했다
.

민간 LNG발전소 가동률은 3년째 미끄럼을 타는 중이다. 2012 64.6%였던 가동률은 지난해 51.4%로 떨어졌다. 올해는 40% 초반까지 추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. 2011년 대규모 정전사태 위기를 겪은 이후 정부가 무더기로 발전소를 늘린 탓이다. 지난해에는 안동복합발전소 등 13개가 문을 열었고 올해도 동두천복합발전소 등 6 LNG발전소가 가동된다
.

발전소가 늘면서 설비예비율도 치솟고 있다. 2013 7.5%에 그쳤던 발전 설비예비율은 지난해 16.3%로 껑충 뛰었다. 올해는 21.2%, 2020년엔 30.5%에 이를 전망이다. 시간이 흐를수록 유휴 발전설비가 늘어나게 된다
.

개점 휴업 상태인 발전소가 많아지면서 발전사들의 실적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. 업계 관계자는수명이 20년을 넘는 발전소가 고작 2, 3년 만에 적자를 낼 정도로 시장 상황이 급변했다고 말했다


정부는 2013년 제6차 전력수급계획을 세우면서 2023년까지 LNG발전소 8.2GW, 원자력발전소 12.8GW, 석탄발전소는 20.9GW를 신설하기로 했다. 1GW 190만가구가 쓸 수 있는 전력이다. 내년에 GS동해전력이 1.2GW급 석탄화력발전소를 가동하는 것을 시작으로 민간과 발전 자회사의 석탄화력발전소들이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. 이렇게 되면 2011 6.2GW에서 지난해 15.9GW 2배 이상 확대된 예비발전 설비용량이 내년부터 더 빠르게 늘어나게 된다. 설비 과잉 우려가 커지는 이유다.

업계에서는 수력, 원자력, 석탄 발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경쟁력이 낮은 민간 LNG발전소 가동률은 급속히 낮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. LNG발전소는 원자력 등 발전 원가가 낮은 발전소를 먼저 가동한 뒤 모자라는 전기를 생산하기 때문이다. h당 발전 단가(변동비 기준)는 원자력이 5, 석탄은 40원이지만 LNG 120원으로 석탄보다 3배 이상 높다. 민간발전협회는 2020년에는 민간 LNG발전소의 가동률이 10%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
.

정부는 가동이 불규칙한 LNG발전소에 투자비의 일부분을 보전해주는 용량정산요금(CP)을 준다. 하지만 2001년 처음 도입한 이후 ㎾h 7.46원인 CP 14년째 동결 상태다. 한전이 CP를 인상할 여력이 없다는 이유에서다. 반면 LNG발전소 투자비는 ㎾당 114만원(2013년 기준)으로 2002년보다 2배 높아지는 등 투자 부담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.

전력 도매가격이 떨어지고 있는 것도 민간 발전사들의 수익 기반을 흔드는 요인이다. 전력도매가격은 1h 기준으로 2012 160원이었으나 2013 152, 지난해 142원으로 하락했다. 업계는 올해 ㎾h 100원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. 전력 생산 단가가 낮은 원전과 석탄발전 비중이 늘고 있어서다
.

김광인 숭실대 경제학과 교수는민간 기업들이 사업 위험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우후죽순으로 발전사업에 뛰어든 것도 잘못이지만 정부가 과도하게 허가를 내준 잘못이 크다발전사들이 생존할 수 있도록 CP 등을 현실화해야 한다고 말했다
.

설비예비율 : 전력수요량 대비 초과 전력공급량 비율. 예기치 못한 발전소 가동 사고 등 비상 상황에 대비해 정부가 예상 전력 수요보다 많은 생산설비 규모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비율이다. 지난해 국내 설비예비율은 16.3%였다
.

박영태 기자
pyt@hankyung.com